Urban Studies and Design Lab

A Research Group on Urban Studies and Design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Studies, Department of Environmental Design & Graduate Program in Urban Design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ㆍ협동과정 도시설계연구실

Courses Spring 2013

자원순환형 도시설계 연구

Theme: What characterizes good urban design for a declining city?

COURSE DESCRIPTION:
This workshop course opens an opportunity of thinking about the criteria for good urban design. Today a number of new urban projects and landscape works are being practiced. Some projects claim to remediate urban problems, including social stigma, de-population, and poverty concentration, among others. However, only a few is well appreciated within the academia. In the course, students are assumed to find, investigate, and appraise a highly influential urban design project in South Korea and neighboring countries in Asia both as a researcher and potential committee member for an urban design prize.

Participating students will be given a mission of nominating a well-designed urban project for ‘2019 SNU Urban Design Prize.’ As a potential committee member and researcher, students are asked to respond to the following questions: What are a list of recent urban projects that positively transformed a neighborhood or a place facing various symptoms of urban decline? How are the impacts of such projects measured and evaluated? Who is influenced by the impacts? What are the key information that helps to understand the process and consequence of good urban design? This course is designed to respond to the above questions. Rules of the course are as follows:

1. The first mission is to nominate a few projects that are widely recognized as exemplary urban design works in South Korean and Asian cities. The project must address―potentially remediate―at least some aspects of urban decline at a number of different scales. Here, ‘urban decline’ can be defined in different dimensions according to students’ evaluation, such as population losses, disappearance of jobs, inactiveness of a commercial area, and increased social vulnerability, among others.

2. Nominated projects should be contributing to the livability of a neighborhood, to the quality of the life of a community, or to the competitiveness of a district/city. Realized projects are preferred, though projects under implementation are also fine as long as at least some of the project demonstrate meaningful direction for the future of urban design. The project should be more than one or two buildings and are planned/built since 2000.

3. Make a short presentation that involves project summary, description, images/maps, analytical graphs, interviews, and critical evaluation of the selected project. The presentation should touch upon fundamental values and design philosophies associated with shrinking-sensitive urban design (Figure 1). The term will be further explained on the first day of the class. Explain how a number of urban problems are being addressed and tackled through the project.

4. For the finals, students will choose the best urban design project of their own and present it to the public.

도시재생스튜디오 Urban Regeneration Studio

문화적 재생을 위한 도시설계: 동탄2 신도시 특별계획구역 (2018년 기준)

동탄2 신도시는 경기도 화성시 동측 끝에 위치하며 수원, 용인, 오산시와 인접한 2기 신도시 중 하나이다. 동탄 1과 함께 총 면적 35 km2로 국내 신도시 중 최대 규모이며 수도권 남부의 광역교통 허브이자 첨단산업과 주거교육비즈니스 기능이 조화된 자족적 도시로 계획되었다. 택지개발촉진법을 근거로 LH한국토지주택공사가 주 사업시행자로 나섰고, 2007년 12월 택지개발예정지구 지정 고시 후 2010년까지 초기 개발계획과 실시계획 수립이 진행되었다. 동탄2 신도시는 목표인구 약 30만 명으로 최근 주요 공동주택과 상업시설이 개발되고 있고 광역버스 및 수서-동탄 고속철도 SRT가 서울과 동탄을 연결하면서 새로운 도시로서의 위용을 갖추기 시작했다.

합리적인 도시계획과 좋은 신도시를 만들기위한 여러 노력에도 불구하고 현재 동탄2 신도시는 여러 과제를 안고 있다. 이를테면 젊은 세대와 청소년, 그리고 학생을 위한 문화역사교육시설이 부족한 점, 고속도로 및 주요간선도로로 주요 도시기능이 분리되어 있는 점, 그리고 향후 핵심적인 도시 비즈니스 거점을 어떻게 조성해야 하는가 등이 그 예다. 물론 신도시 개발 및 분양 초기에 입주자를 위한 모든 공공시설과 자족적 기능이 완비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하지만 각종 생활인프라 결핍으로 인한 도시에서의 사회적 부작용을 우리는 이미 경험했고, 이러한 시행착오를 되풀이하지 않으려는 노력이 동탄에서도 진행 중이다.

동탄에서는 일반적인 택지개발과 토지분양 방식으로 확보하기 어려운 특화된 도시 기능을 실시계획 수립 시 ‘특별계획구역’으로 지정하여 확보하고자 했다. 동탄2에서 지정된 일곱개의 특별계획구역 중 하나가 바로 본 스튜디오에서 다룰 ‘문화디자인밸리’이다. 총 면적 약 2,003,000 m2인 이곳에 개발계획 수립 시 주거와 함께 상업, 업무, 문화, 교육, 스포츠, 수변 특화시설을 복합적으로 도입하고자 했다. 하지만 동탄2 내 주요 필지와 본 스튜디오의 대상지가 포함된 3단계 사업지 일부가 민간에 매각되고 상당한 도시기반시설 건설이 진행 중인 상태에서 대상지가 사회적으로 건강하고 도시민들에게 사랑받는 장소로 거듭날 수 있는지는 아직 불확실한 상태이다.

본 스튜디오에서는 낙후되고 열악한 구시가지 재생이 아닌, 새롭게 조성 중인 신도시 환경에서 어떻게 시의적절하게 사회문화적 기능과 프로그램을 도입할 수 있는가를 탐구한다. 현재 대상지에 대한 별도의 계획이 진행 중에 있으나, 본 수업의 결과물은 실제 수립 중인 계획에는 어떤 형태로든 반영되지 않음을 전제로 한다.

SITE:
스튜디오 대상지는 동탄2 신도시 내 문화디자인밸리 중에서도 아직 민간에 매각되지 않은 미개발부지이다. 위치는 Tri-M 공원의 동측이자 앞으로 지하화 될 경부고속도로 사이에 있는 면적 약 249,000 m2의 토지이다. 동탄역에서 직선거리로 약 700m 남서측에 있고, 이산중학교와 풍성신미주아파트의 북측에 해당한다. 대상지는 동탄기흥로를 끼고 서측에 위치한 ‘미디어몰(가칭)’과 동측의 ‘경부고속도로 및 수변 인접지역’으로 구분된다.

OBJECTIVES:
본 도시재생스튜디오의 목표는 다음과 같다.
1. 개발이 진행 중인 신도시에서 미개발부지의 특수성과 사업시행자, 인근 거주자, 소비자, 문화시설 사업자, 계획가의 입장을 종합적으로 이해한다. 관련 복합문화시설로 다음과 같은 예가 있다.
- 스타필드 하남/고양
- 김포 롯데몰, 영등포 타임스퀘어
- 중소형 리테일, 예. 오버더디쉬, 디스트릭트Y, 성수연방, 어쩌다가게 등
- 민간 문화공간, 예. 네이버 라이브러리, 현대 어린이책 미술관, 브레이너리 등
- 광교 앨리웨이, 익선동 과수원, 벨라시타, 마크트할레 등

2. 신도시 환경과 입주 커뮤니티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에 기반하여 도시재생 목표를 수립하고 관련 문화적 기능과 거주/소비/교육/업무환경을 제시한다.
3. 위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토지이용계획을 수립하고 민간과 공공개발이 어떻게 이루어질 수 있음을 3차원 형태로 표현한다. 도시형태에는 간선도로와 이면도로, 보행자도로, 광장, 공공보행통로, 용도별 필지, 건축, 경관, 조경, 수변공간 등을 포함한다.